전체 글983 은하수를 건너 은하수(銀河水) 건너 직녀(織女)와 견우(牽牛) 오작교(烏鵲橋) 은하수(銀河水)를 건너~~~ 판운리 섶다리/ 영월 2022.03.29 2022. 3. 31. 섶다리 별밤 판운리 섶다리/ 영월 2022.03.29 2022. 3. 30. 섶다리 II 은하수 Panorama 판운리 섶다리/ 영월2022.03.29 2022. 3. 29. 불어오는 바람속에 Blowin in The Wind Blowin in The Wind(불어오는 바람 속에) By Bob Dylan(밥 딜런) 중략 How many times must the cannonballs fly Before they're forever banned?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얼마나 많은 포탄이 날아야 세상에 평화가 찾아올까~ 그 대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지, 나의 친구여 대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다네. . . 중략 2022.03.27 2022. 3. 27. 후원(後苑) 소경 창덕궁 후원 입구 부용지(芙蓉池) 애련지(愛蓮池) 연경당(演慶堂) 장락문(長樂門) 오작교(烏鵲橋) 연경당(演慶堂) 존덕정(尊德亭) "거북등 무늬" 나무 귀갑(龜甲)무늬/ 후원(後苑) 나가는 길에 창덕궁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03.19 2022. 3. 25. 옥류천(玉流川) 일원 창덕궁 후원(後苑)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 굽이도는 물길에 술잔을 띄어 놓고, 술 한잔에 시(詩) 한 수 창덕궁(昌德宮)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03.19 2022. 3. 23. 청의정(淸漪亭)돌다리 I 청의정(淸漪亭)/ 맑은 물결을 감상하는 정자(亭子)/ 주자(朱子)의 시(詩)에서 따온 것이라 함 옥류천(玉流川) 주변 정원의 가장 안쪽 정자(亭子)/ 궁궐의 유일한 초가 지붕 임금은 벼 농사를 짓고 그 볏짚으로 지붕의 이엉을 잇게 했다 함/ 정자 옆 논 농사의 소중함을 백성에게 알림/ 선농(先農) 청의정(淸漪亭) 옆 돌다리/ 널다리/ 1636년 창덕궁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03.19 2022. 3. 23. 태극정(太極亭)돌다리 I 후원(後苑) 옥류천(玉流川) 일원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 태극정(太極亭)/ 철학적인 이름 정자(亭子) 태극정(太極亭) 옆 돌다리/ 널다리/ 1636년 창덕궁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03.19 2022. 3. 23. 어정(御井)앞 돌다리 I 소요암(逍遙岩) 뒤 어정(御井)/ 임금님이 먹었던 생수(生水)/ 돌 덮개로 덮혀 있슴 샘에서 나온 물이 바위를 휘돌아 흐름/ 소요암에 옥류천(玉流川)/ 인조의 친필/ 작은 폭포 청의정(淸漪亭)과 소요정(逍遙亭) 사이에 어정(御井)/ 어정에서 나온 물은 옥류천(玉流川)으로 널다리 아래 작은 우주(宇宙)/ 우주 안의 태극(太極) 문양/ 잎을 띄어 놓으면 흘러 내리지 않고 빙빙 돈다 함 어정(御井) 앞 돌다리/ 널다리/ 1636년 창덕궁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03.19 2022. 3. 22. 봄이 오는 길목에서 창덕궁 후원(昌德宮 後苑)/ 부용지(芙蓉池) 부용정(芙蓉亭) 주합루(宙合樓) 애련지(愛蓮池) 애련정(愛蓮亭) 연경당(演慶堂) 옥류천(玉流川) 가는 길에/ 멀리 성균관대(成均館大) 옥류천(玉流川)으로~ 후원 나가는 길 금천(錦川)에 물이 없다 향나무/ 수령(樹齡) 700여년 노목(老木)/ 천연기념물 제194호 창덕궁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03.15 2022. 3. 20. 금천교(錦川橋) III 보물 제1762호 진선문(進善門) 밖 어구(御溝)에 설치 비단처럼 맑고 아름다운 물이 흘렀던 금천/ 태종11년(1411년) 금천교(錦川橋)/ 금천교(禁川橋)의 고유(固有) 이름/ 홍예교(虹蜺橋) 창덕궁(昌德宮)/사적 제122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03.19 2022. 3. 19. 존덕정(尊德亭)홍예교II 홍예교(虹蜺橋)/ 아치형 무지개 돌다리 존덕정(尊德亭)/ 후원(後苑)의 관람지(觀纜池)에 있는 육각형 정자(亭子) 조선시대 건축의 다양성으로 처마가 이층인 겹지붕 인조 22년(1644년) 창건/ 정조의 현판이 있슴 일영대(日影臺)/ 해시계를 올려 놓으려고 만든 대/ 돌다리와 존덕정 사이 존덕정 동편으로 시내/ 그 위에 돌다리 홍예교(虹蜺橋) 존덕/ 덕(德)을 쌓다(尊)/ 임금이 덕을 존중하면 성군(聖君) 창덕궁 후원(後苑)/ 사적 제122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03.15 2022. 3. 19.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