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10.가교(架橋): 전통다리175

방하교(放下橋)/ 금둔사(金芚寺) 방하교(放下橋)/ 금전산 자락 금둔사(金芚寺)의 금천교(禁川橋)방하(放下)/ "내려 놓다"라는 뜻번뇌(煩惱)와 집착(執着)을 내려놓고 깨달음의 길로 들어서는 불교적 가르침을 상징적으로 이름방하교(放下橋)/ 1983년 금둔사 복원이후 놓여진 다리선암사 승선교(昇仙橋)와 비슷한 홍예교(虹蜺橋)말하지 않는 것과의 대화/ 남도 옛다리 답사기(踏査記)/ 아내와 함께  방하교 만추(晩秋)무지개 다리와 "용머리 석물(공복)"/ 다리 밑으로 들어오는 악귀(惡鬼)를 막아 준다고 함대웅전(大雄殿) 방하교(放下橋) 금둔사(金芚寺)/ 순천2024.11.16 2024. 12. 14.
능파교(凌波橋)/태안사(泰安寺) 능파교(凌波橋) 능파각(凌波閣) / 누교(樓橋)1737년(영조13) 건립 1861년(철종12) 중수(重修) 1996년 해체 보수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능파(凌波)/ "미인의 가볍고 아름다운 걸음걸이"를 이르는 말능파교(각)/ 사바(娑婆)세계와 피안(彼岸)의 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경계에 금천교(禁川橋) 누교능파각(凌波閣)/ "물결 위를 떠다니는 누각"을 뜻 함만추(晩秋) 능파교  팔작(八作)지붕 형태/ 누각(樓閣)    대웅전(大雄殿)/ 태안사(泰安寺) 능파교 능파각(凌波閣) 태안사(泰安寺)/ 곡성2024.11.16 2024. 12. 12.
삼청교(三淸橋)/송광사(松廣寺) 일명(一名) 능허교(凌虛橋)삼청교(三淸橋)위 우화각(羽化閣)의 누교(樓橋)1707년(숙종33) 축조(築造)/ 1774년(영조50) 중수(重修)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삼청(三淸)/ 청심(淸心) 청정(淸淨) 청류(淸流) 송광사의 수행과 깨달음의 삼청교(三淸橋)능허(凌虛)/ "허공을 뛰어넘고"우화(羽化)/ "날개가 돋아 신선이 된다" 라는 뜻.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된다는 뜻삼청교(三淸橋) 빛내림삼청교(三淸橋)의 계곡은 육감정(六鑑亭)으로 흐르고삼청교(三淸橋)와 고향수(枯香樹)/ 고목나무와 보조국사만추(晩秋) 능허교(凌虛橋)우화각(羽化閣)대웅보전(大雄寶殿)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천왕문(天王門)에서 본 우화각(羽化閣)누각(樓閣)에는 송광사를 찿았던 시인(詩人)과 묵객(墨客)들의 시(詩) 홍예(虹蜺) 천정 용머.. 2024. 12. 8.
징검다리/ 송광사(松廣寺) 징검다리와 육감정(六鑑亭)징검다리와 삼청교(三淸橋) 우화각(羽化閣)징검다리를 건너~징검다리와 신평천 계곡대웅보전(大雄寶殿)/ 만추(晩秋) 송광사 징검다리/ 송광사(松廣寺) 순천2024.11.16 2024. 12. 7.
극락교(極樂橋)III 송광사(松廣寺) 승보종찰 조계산 송광사(僧寶宗刹曺溪山松廣寺)/ 송광사로 가는 표지석극락교(極樂橋)/ 세속(世俗)에서 불계(佛界)로 들어가는 경계 금천교(禁川橋)청량각(淸凉閣)/ 속세(俗世)의 번뇌를 씻고 불국정토(佛國淨土)로 들어가는 금천교(禁川橋)누각(樓閣)극락교(청량각)/ 1730년 누각없는 홍예교(虹蜺橋) 축조/ 1892년 1917년 재건1921년 누각을 중수(重修)한 누교(樓橋)들어갈때는 청량각(淸凉閣) 현판(懸板)나올때는 극락교(極樂橋) 편액(扁額)     다리 밑 용머리 석물/ 이맛돌/ 사찰(寺刹)의 안전(安全)과 안녕(安寧)을 위해    천정에 청룡(靑龍) 황룡(黃龍) 조각조계산에서 흐르는 신평천 계곡송광사(松廣寺) 대웅보전(大雄寶殿) 극락교(極樂橋) 청량각(淸凉閣)/ 송광사(松廣寺) 순천2024.11.16 2024. 12. 6.
단운교(單雲橋) 쌍운교(雙雲橋) "땅끝마을" 돌다리 홍예교(虹蜺橋)단운교(單雲橋) 쌍운교(雙雲橋)/ 진도 남도진성(珍島南桃鎭城) 남문 밖 세운천에 축조(築造)남도진성(南桃鎭城)/ 고려 삼별초(원종 1259~1274년)의 대몽항쟁 근거지로 전해짐지금의 성벽은 세종20(1438년) 외적의 침입을 방어키 위해 축성(築城) 추정남문 해자(垓字)를 건너 세운천 돌다리 홍예교(虹蜺橋)쌍운교(雙雲橋)/ 1930년 즈음 축조(築造) 진도 남도진성(珍島南桃鎭城)/ 진도 남도석성(珍島南桃石城)에서 명칭변경(2011.07.28고시)남도진성(南桃鎭城)/ 사적 제127호단운교(單雲橋)/ 1870년 이후 추정투박한 자연석의 단아(端雅)한 멋그 옛날에도 만추(晩秋)의 꽃은 피고지고 자료출처/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포털진도남도진성(珍島南桃鎭城)/ 남문 내(內)/ 동.. 2024. 12. 4.
심진교(尋眞橋) 대흥사(大興寺) 심진교(尋眞橋)심진(尋眞)/ "진리(眞理)를 찾는다" 라는 뜻심진교(尋眞橋)마음을 정화(淨化)하고 참된 진리(眞理)를 찾는 여정(旅程)을 상징하는 다리/ 금천교(禁川橋)침계루(枕溪樓)"계곡을 베개 삼는 누각(樓閣)"이란 뜻/ 조선 명필 원교 이광사(1705~1777)의 글씨금당천(金塘川) 위 심진교(尋眞橋)    두륜산(頭輪山) 계곡 만추(晩秋) 금당천(金塘川)   심진교(尋眞橋)를 지나 대웅보전(大雄寶殿) 심진교(尋眞橋) 대흥사(大興寺)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해남(海南)2024.11.15 2024. 11. 27.
반야교(般若橋) 대흥사(大興寺) 반야교(般若橋)반야(般若)/ 산스크리트어"깨달음에 이르는 지혜의 가르침"이라는 뜻반야교(般若橋)/ 지혜의 다리반야교(般若橋)피안교(彼岸橋)와 일주문(一柱門) 사이에 위치"오매 단풍 들것네"두륜산(頭輪山) 계곡 금당천(金塘川)    반야교(般若橋) 대흥사(大興寺)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해남(海南)2024.11.15 2024. 11. 25.
피안교(彼岸橋) 대흥사(大興寺) 가는 길피안(彼岸)/ 강의 건너편 기슭 사바세계(娑婆世界)의 저 쪽 불국정토(佛國淨土)피안교(彼岸橋)/ 세속(世俗)에서 대흥사(大興寺)로 들어가는 경계피안교(彼岸橋)/ 대흥사의 금천교(禁川橋)   만추(晩秋) 피안교피안교(彼岸橋) 계곡/ 두륜산(頭輪山) 계곡 금당천(金塘川)피안교(彼岸橋)에서 본 유선관(遊仙館)/ 우리나라 최초의 여관(1914년) 피안교(彼岸橋) 대흥사(大興寺)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해남(海南)2024.11.15 2024. 11. 24.
오작교(烏鵲橋) 광한루원(廣寒樓苑) 오작교 연못과 광한루/ 연지교(蓮池橋)광한루(廣寒樓)/ 보물 제281호광한루원 연못 준설 작업중견우와 직녀의 전설이 담긴 바로 그 다리오작교와 방장섬과 돌자라음력 칠월 칠석에 견우와 직녀가 만난다는 다리까마귀와 까치가 은하수에 모여서 서로 몸을 잇대어 만든다는 다리돌자라/ 남원을 수호하는 영물(靈物)이라고 함방장정(方丈亭)/ 방장섬에 정자견우와 직녀의 천상(天上)의 사랑춘향 이몽룡의 지상(地上)의 사랑/ 오작교(烏鵲橋)광한루원(廣寒樓苑)/ 조선 태종대에 건립오작교(烏鵲橋)를 건너면 사랑이 이루어지고 복을 받는다고 함 연못에 물이 빠진 오작교(烏鵲橋)  광한루원(廣寒樓苑)/ 남원2024.11.15 2024. 11. 18.
극락교(極樂橋) II 선운사(禪雲寺) 극락교(極樂橋)/ 선운사의 금천교(禁川橋) 도솔천(兜率川) 물길 따라 도솔천(兜率天) 극락교(極樂橋) 지나 천왕문(天王門)  아직도 "푸르른 도솔천(兜率川)" 극락교 애기단풍 선운사(禪雲寺)/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 고창 전북2024.11.03 2024. 11. 11.
극락교(極樂橋) I 백양사(白羊寺)의 금천교(禁川橋)인 극락교(極樂橋)부처님을 뵙기 위해 세상사 고통의 바다 고해(苦海)를 건너는 다리백학봉(白鶴峰) 선경(仙景)에서 흘러내리는 약수천에 극락교(極樂橋)  백양사(白羊寺) 아래로 흐르는 약수천 백양사(白羊寺)/ 장성 전남2024.11.03 2024.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