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가교(架橋): 전통다리178 물섬 외나무다리 IV 무섬(물섬) 외나무다리 정월 대보름 다리 밟기 Sky Replacement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내성천(乃城川) 영주 2024.02.24 2024. 2. 26. 작은 것에 감사(感謝) II 정월 대보름 달집태우기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무섬마을 오뎅 한그릇에 감사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내성천(乃城川) 영주 2024.02.24 2024. 2. 25. 징검다리 취한대(翠寒臺)에서 죽계천을 넘어 소수서원으로 가는 징검다리 징검다리 넘어 취한대(翠寒臺) 소수서원에서 선비촌으로 가는 징검다리 징검다리 넘어 죽계교(竹溪橋) 죽계천(竹溪川)/ 소수서원(紹修書院) 영주 2024.02.06 2024. 2. 14. 죽계교(竹溪橋) 소수서원(紹修書院)과 선비촌 사이 죽계천(竹溪川) 다리 죽계교(竹溪橋)/ 소수서원(紹修書院) 영주 2024.02.06 2024. 2. 13. 넌 "다리 밑"에서 주워 왔단다 다리 설화(說話)의 진원지/ 원조 격(元祖 格) 청(菁)다리/ 청다리의 다른 이름 제월교(霽月橋) 죽계천(竹溪川) 청(菁)다리/ 소수서원(紹修書院) 영주 2024.02.06 2024. 2. 12. 청(菁)다리/ 제월교(霽月橋) 청다리/ 제월교(청다리의 다른 이름) 청(菁)다리를 사이에 두고 소수서원(紹修書院)과 선비촌 다리밑 설화(說話) 진원지/ "넌 다리 밑에서 주워 왔단다" 소백산 발원 죽계천(竹溪川)/ 그 위 청(菁)다리 2004년 복원 역사(歷史)는 흐른다 제월교(霽月橋)/ 단종(端宗) 복위운동으로 희생된 이들의 명예가 회복 되기를 바라는 의미의 청(菁)다리 다른 이름 금성대군(수양대군의 동생)의 유배지 순흥(영주) 슬픈 역사와 제월교 퇴계(退溪)이황(李滉)이 다리 이름을 지었다고 함/ 제월광풍(霽月光風)에서 따옴 청다리(제월교)/ 소수서원(紹修書院) 영주 2024.02.06 2024. 2. 12. 풍기 유(留)다리 유(留)다리/ 소백산 희방사(喜方寺) 아래 풍기 서문 밖 돌다리 남원천에 위치 2005년 복원(復元)/ 상판 일부만 옛 부재(部材) 활용 소백산 희방사(喜方寺)/ 신라 선덕여왕 12년(643) 두운(杜雲) 창건 희방사(喜方寺) 창건 설화(說話)/ 경주 계림(鷄林)의 호장(戶長) 유석(留石)의 무남독녀에 관한 설화 유석(留石)의 "유(留)다리"라 명명(命名) 그 옛날 유(留)다리 건너 희방사(喜方寺)로 향했던 사부대중(四部大衆)의 눈 발자국인 듯 여러개의 장대석(長大石)을 사용 유(留)다리 안내문/ 안내문이 없어 문화재 관리가 소홀(疏忽)/ 아쉽고 애석(哀惜) 함 희방사 설화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유(留)다리/ 풍기(풍기읍 금계리 410-4) 2024.02.06 2024. 2. 11. 물섬 외나무다리 III 무섬(물섬) 외나무다리 무섬마을/ 조선 중기 17C 중반 반남 박씨와 선성 김씨의 집성촌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내성천 영주 2024.02.06 2024. 2. 10. 물섬 외나무다리 II 무섬(물섬) 외나무다리 고즈넉한 "외나무다리"에 새벽 눈발 날리고 무섬마을에서 "외지"로 나가는 외나무다리 마을 바깥으로 나가는 "대문"인 외나무다리 새로운 "세상"을 만나는 외나무다리 "인류의 삶"은 길을 따라 통하고 그 길에는 "사람"을 생각하는 다리가 있었다 들고 나는 외나무다리 외나무다리의 "여유와 배려"/ 서로 피할 수 있는 공간 "사람과 사람"을 잇는 외나무다리 사람을 생각하는 홍익인간(弘益人間) 정신/ "여유와 배려"공간 세상과 "소통"하는 외나무다리 외나무다리 건너 "수도교"(1983년 개통) 길이 150여m 폭 30cm 정도/ 눈 덮인 외나무다리 외나무다리 건너 꽃가마 타고 온 "아씨"는 지금 어디에 외나무다리 위에 뽀얗게 내린 새벽 눈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내성천 영주 2024.02.06 2024. 2. 10. 물섬 외나무다리 I 무섬(물섬) 외나무다리 기나긴 세월 바깥 세상으로 이어준 가교(架橋)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내성천 영주 2024.02.06 2024. 2. 9. 다리와 나무 외나무다리 건너 "무섬마을" 외나무다리와 내성천(乃城川) 외나무다리와 수도교(콘크리트다리) 내성천 외나무다리/ 영주 2024.02.06 2024. 2. 9. 영제교(永濟橋) VI 영제교(永濟橋)/ 경복궁의 금천교(禁川橋) 고유(固有) 이름 세종 8년(1426) 영제교(永濟橋)라 이름 지음 2001년 이전 복원(復元) 비 내리는 영제교 흰눈에서 "비" 오는 영제교 영제교(永濟橋)/ 경복궁(慶福宮) 2024.01.17 2024. 1. 19. 이전 1 2 3 4 5 6 7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