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78 겨울나무 나무야 나무야 겨울 나무야 내성천(乃城川)/ 낙동강 지류 겨울나무/ 동요(이원수 작사 정세문 작곡) 나무야 나무야 겨울 나무야 눈 쌓인 응달에 외로이 서서 아무도 찿지 않는 추운 겨울을 바람 따라 휘파람만 불고 있느냐 중략 내성천(외나무다리)/ 영주 2024.02.06 2024. 2. 8. 새벽 눈발 "새벽 눈발"이 날리는 무섬마을/ 국가민속문화재 제278호 "외나무다리" 건너 무섬마을 무섬마을 가는 길/ 경북 영주시 장수면 반구리(철길 건널목) 무섬마을/ 영주 2024.02.06 2024. 2. 7. 영제교(永濟橋) VI 영제교(永濟橋)/ 경복궁의 금천교(禁川橋) 고유(固有) 이름 세종 8년(1426) 영제교(永濟橋)라 이름 지음 2001년 이전 복원(復元) 비 내리는 영제교 흰눈에서 "비" 오는 영제교 영제교(永濟橋)/ 경복궁(慶福宮) 2024.01.17 2024. 1. 19. 경회루(慶會樓) 석교 VI 이견문(利見門)/ 임금님 돌다리/ 세 갈래 어도(御道) 임금님 전용 남쪽 석교(石橋) 경회루 3개 석교(石橋)/ 이견문(利見門) 함홍문(含弘門) 자시문(資始門) 석교 경회루(慶會樓)/ 국보 제224호 경회루(慶會樓) 석교(石橋)/ 경복궁(景福宮) 2024.01.17 2024. 1. 19. 세한궁궐(歲寒宮闕) 건청궁 곤녕합(坤寧閤) "뒤뜰" 세한(歲寒)/추운 겨울/ 적막궁궐(고즈넉한 궁궐 뒤뜰) 세한연후지 송백지후조(歲寒然後知 松栢知後凋) "한겨울 추운 날씨가 되어서야, 소나무 측백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비로소 알 수 있다" 논어(論語) 자한(子罕) 편 건청궁(乾淸宮)/ 경복궁(景福宮) 2024.01.17 2024. 1. 18. 취향교(醉香橋) VII 취향교 향기(香氣)는 눈발에 날리고/ 향원정(香遠亭) 향원지(香遠池)에 드리워진 설송(雪松)의 그림자 눈발에 취(醉)한 취향교(醉香橋) 취향교(醉香橋)/ 나무다리/ 향원지(香遠池) 경복궁(景福宮) 2024.01.17 2024. 1. 18. 건청궁(乾淸宮) 회랑교 IV 건청궁(乾淸宮)/ 경복궁(景福宮) 후원 궁궐 장안당(長安堂)/ 왕(고종)의 처소(處所)인 사랑채 곤녕합(坤寧閤)/ 왕비(명성황후)의 처소(處所)인 안채 사대부(士大夫)의 저택과 유사한 장안당/ 단청(丹靑)을 하지 않음 옥호루(玉壺樓)/ 명성황후(明成皇后) 피살 된 전각(殿閣) 서설(瑞雪) 가득한 안채 곤녕합 마당 회랑교(回廊橋)/ 장안당과 곤녕합 두 전각(殿閣)을 이어주는 복도 형식의 다리 장안당 회랑교(回廊橋)와 흰눈 매화나무 곤녕합 뜨락 라일락/ 옥호루 넘어 북악산(北岳山) 2007년 복원 회랑(回廊) 건청궁(乾淸宮) 회랑교(回廊橋)/ 경복궁(景福宮) 2024.01.17 2024. 1. 18. 희정당(熙政堂)/ 회랑교(回廊橋) 희정당(熙政堂) 현관 캐노피 돌출 전각(殿閣)/ 자동차 진입을 위해서 현관에서 본채 본채에서 현관으로 희정당(熙政堂) 본채 왕의 침전(寢殿)인 대전(大殿)과 국사(國事)를 보는 편전(便殿) 보물 제815호/ 건립 1609년(재건) 1920년 재건/ 한식에 서양식 가미(加味) 회랑교(回廊橋)/ 두 전각(殿閣)을 이어주는(희정당 현관과 본채) 복도 형식의 다리 왕비의 대조전(大造殿)과 왕의 희정당(熙政堂)을 이어주는 회랑교(回廊橋) 아름다운 장식 문양(사슴, 천마,코끼리, 학)의 굴뚝 희정당(熙政堂)/ 창덕궁(昌德宮)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4.01.09 2024. 1. 11. 회랑교(回廊橋) V /감사 대조전(大造殿)/ 회랑교 희정당(熙政堂)에서 대조전(大造殿)으로 "사랑의 복도" 마루다리 2024 갑진년(甲辰年) 서설(瑞雪) 회랑교에 "사랑을 싣고" 대조전 회랑교(回廊橋)/ 창덕궁(昌德宮)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4.01.09 2024. 1. 10. 설중매(雪中梅) 한송이 "설매화(雪梅花)"를 피우기 위해 "서설(瑞雪)"은 그렇게 또 내리나 보다 2024 갑진년(甲辰年) 새해 들어 첫 눈 매화(梅花)나무/ 창덕궁(昌德宮)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4.01.09 2024. 1. 10. 금천교(錦川橋) V /흰눈은 비단처럼 비단처럼 맑고 아름다운 물이 흘렀던 금천(錦川)비단처럼 고운 흰눈이 금천교(錦川橋)에 포근한 솜이불처럼금천교(錦川橋)/ 보물 제1762호최고(最古)의 궁궐 석교/ 태종 11년(1411) 축조금천교(錦川橋)/ 금천교(禁川橋)의 고유(固有) 이름건축기술자 .. 2024. 1. 8. 회랑교(回廊橋) V /함박눈 희정당(熙政堂)에서 대조전(大造殿)으로 희정당(熙政堂)/ 왕의 침전 업무공간 회랑교(回廊橋)/ 두 전각(殿閣)을 이어주는 복도형식의 마루다리 왕의 "희정당"에서 왕비의 "대조전"으로 연결하는 마루다리 회랑교는 사랑을 싣고 ♡ 왕과 왕비의 "사랑의 복도" 다리 대조전/ 왕비만의 내전(內殿) 정원 대조전(大造殿) 회랑교(回廊橋)/ 창덕궁(昌德宮)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3.12.30 2024. 1. 7.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