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전체 글978

환구단(圜丘壇) 웨스틴조선호텔에서 본 환구단 사적 제157호 환구단(圜丘壇)/ 천자(天子)가 하늘에 제사를 올리는 제단이다 1897년(고종 34) 고종이 덕수궁 석조전에서 황제에 오르며 근대적인 자주 국가로서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이를 하늘에 고한 곳이다 소공동/ 서울 2024.03.02 2024. 3. 3.
강변 살자 엄마야 누나야 엄마야 누나야 김소월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내성천(乃城川) 영주 2024.02.24 2024. 2. 27.
물섬 외나무다리 IV 무섬(물섬) 외나무다리 정월 대보름 다리 밟기 Sky Replacement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내성천(乃城川) 영주 2024.02.24 2024. 2. 26.
작은 것에 감사(感謝) II 정월 대보름 달집태우기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무섬마을 오뎅 한그릇에 감사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내성천(乃城川) 영주 2024.02.24 2024. 2. 25.
작은 것에 감사(感謝) I 정월대보름 세시풍속(歲時風俗) 정월대보름 고싸움 정월대보름 줄다리기 점심 식사에 감사하며 판교 쌍용 거(巨) 줄다리기/ 판교 2024.02.24 2024. 2. 25.
간절한 마음 미륵불(彌勒佛)/ 중생을 구제(救濟) 아양동 보살입상/ 안성 2024.02.20 2024. 2. 23.
모정(母情) 비에 젖은 모정 큰바위얼굴 조각공원/ 음성 2024.02.20 2024. 2. 23.
인디언 보호구역 I 인디언 레저베이션(Indian Reservation)체러키 인디언 Indian Reservatidn(인디언 보호구역)/ 1971년 폴 리비어 & 더 레이더스(Paul Revere & The Raiders) / 미국 록 밴드 ♪♩♬ 중략So proud to live, So proud to die(아주 명예롭게 살고,명예롭게 죽지요)중략 큰바위얼굴 조각공원/ 음성(우중 출사)2024.02.20 2024. 2. 23.
성불(成佛) 하세요 의상대사 "화엄사상(華嚴思想)" 정수 담긴 "부석사(浮石寺)" 신라 문무왕 16년(676년) 창건/ 국보 제18호 일주문(一柱門)/ 은행나무 길 따라 천왕문(天王門)/ 가파르게 오르는 경사로 108계단을 오르는 시퀀스(Sequence) 올려다 보는 시각(視角)으로 소백산맥 봉황산의 급경사지에 9개의 석축단(石築壇) 석단(石壇) 위에 법당 배치 "구품왕생(九品往生)" 사상을 건축화/ 하,중,상품단/ 9개의 단(壇) 불교의 세계관을 가시적(可視的)으로 구현한 부석사(浮石寺) 최고(最高)의 단계는 무량수전(無量壽殿)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 무량수전 앞 마당에서 눈 덮인 법당 지붕 넘어 파노라마(Panorama) 사바세계(娑婆世界)/ 소백산 자락 능선 시퀀스(Sequence)의 정점(頂點) 무량수전(無量壽殿.. 2024. 2. 17.
배흘림 기둥 무량수전(無量壽殿)/ 국보 제18호 고려시대 중기 목조건물/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 하나/ 1376년 중수(重修) 무량수전(無量壽殿)/ 아미타불(서방극락 정토의 부처)을 모시는 법당(法堂) 무량수전 앞 석등(石燈)/ 통일신라 시대의 석등으로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光明燈)/ 국보 제17호 서설(瑞雪)이 내린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 기둥의 중간이 배가 부른 곡선의 기둥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출처: 혜곡 최순우 선생의 책 의상대사 "화엄사상(華嚴思想)" 정수 담긴 무량수전 부석사(浮石寺) 무량수전 현판(懸板)/ 고려 공민왕(恭愍王)의 친필 이라고 전해짐 가장 아름답고 가장 오래 된 목조(木造) 건물 안양문(安養門)을 지나 무량수전 부석사(浮石寺) 무량수전/ 유네스코 세계유산/ 영.. 2024. 2. 16.
"소이수지(紹而修之)"서원 소수서원/ "기폐지학 소이수지(旣廢之學 紹而修之)" "소수"서원의 어원(語源) 기폐지학 소이수지(旣廢之學 紹而修之)/ "이미 무너진 학문을 다시 이어 닦게 했다(하라)"는 뜻을 담아 소수(紹修)라고 명명(命名) 숙수사지 당간지주(宿水寺址 幢竿支柱)/ 보물 제59호/ "당"이라고 하는 불화를 그린 깃발을 걸던 석재기둥/ 통일신라 시대 숙수사(宿水寺) 사찰 터 경렴정(景濂亭)/ 고목 은행나무(수령 500여년) 최초의 사액(賜額) 서원 명종5년(1550년)/ 사적 제55호/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2019년) 강학당(講學堂)/ 보물 제1403호/ 유생들의 강의 장소 소수서원 현판(紹修書院 懸板)/ 명종 어필(명종 친필 사액 현판)/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요청으로 백운동 현판(白雲洞 懸板)/ 주세붕 창건 .. 2024. 2. 15.
징검다리 취한대(翠寒臺)에서 죽계천을 넘어 소수서원으로 가는 징검다리 징검다리 넘어 취한대(翠寒臺) 소수서원에서 선비촌으로 가는 징검다리 징검다리 넘어 죽계교(竹溪橋) 죽계천(竹溪川)/ 소수서원(紹修書院) 영주 2024.02.06 2024.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