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82 그리운 은하(銀河) Sequator (원본파일 7컷) Sequator (원본파일 7컷) 은하수 중심부/ 궁수자리 전갈자리 (M24/ 석호성운/ 알나슬/ B59/ 안타레스) F(1.4) 35mm Sequence(연속) + Equator(적도) "Sequator" 프로그램 개발자의 합성어 인 듯 안반데기/ 강릉 2023.02.27 2023. 3. 3. 눈밭 은하(銀河) 안반데기 눈밭에 흐르는 은하수 은하수가 사라지면 여명(黎明)이 오는 것을 . . ./ 윤회(輪廻) 안반데기/ 강릉 2023.02.27 2023. 3. 2. 고냉지 새아침 고냉지(高冷地) 안반데기 안반데기/ 강릉 2023.02.26 2023. 3. 1. 여명 은하(黎明銀河) 시큐에이터(Sequator) 7컷 안반데기/ 강릉 2023.02.26 2023. 3. 1. 은은한 미리내 파노라마(Panorama) (35mm F1.4) Panorama (14mm F1.8) 2023년 마수걸이 "2월 눈밭 은하수" 안반데기/ 강릉 2023.02.27 2023. 2. 28. 별비는 내리고 안반데기/ 강릉 2023.02.26 2023. 2. 26. 논산 석성수탕석교(石城水湯石橋) I 석성 수탕석교(石城水湯石橋)/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8호석성천(石城川)에 놓여진 석교(石橋)논산과 부여의 경계 지역에 위치/ 석성과 은진을 잇는 다리"동국여지승람" "대동지지"에 수탕교 기록/ 현지인들은 "주창다리"라 부름20세기 초 신작로가 신설 되면서 다리의 기능을 잃었다고 함훼손 된 다리를 1998년 부재를 모아 복원5개 교각위에 판석을 얹은 평교투박한 자연석 그대로의 모습고려 말 조선 초기의 전통양식 석교 석교 중수비(重修碑)/ 영조16년(1740년) 보수한 기록이 있슴 논산 석성수탕석교/ 논산 성동면2023.02.17 2023. 2. 23. 허주(虛舟) 선감도(仙甘島) 갯벌에는 눈발이 쌓이고(2023.01.26) 시간(時間)의 흔적(痕迹) ~ 자국은 누구의 것인가 ! 흰눈은 빈 배를 감싸고(2023.01.26) 시간(時間)의 수레바퀴는 어디쯤인가 ! 허주(虛舟)/ 빈배 선감도/ 안산 2023.02.22 2023. 2. 23. 그리움만 쌓이네 거센 바람으로 ㅠㅠ / 철수(撤收) 갯벌에 흰눈이 내려앉고(2023.01.26) 시간(時間)의 흔적(痕迹)은. . . 네가 보고파서 나는 어쩌나 그리움만 쌓이네 선감도(仙甘島)/ 안산 2023.02.20 2023. 2. 20. 논산(論山) 원목다리 I 원목다리/ 일명 원항교(院項橋)/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호 조선시대 충청도와 전라도(은진과 강경)를 잇는 분계점으로 경계역할을 하던 다리 3칸의 둥근 아치형 화강암 석교 호남으로 가는 기찻길 원항천(院項川) 이 다리를 건너던 길손들은 지금은 어디에. . . 홍예(虹蜺)의 양쪽 머릿돌에 용머리 조각 원항교(院項橋) 개건비(改建碑)/ 1900년대 개축, 축조 연대는 불분명(1750년대 추정/해동지도) 마을과 마을,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던 옛 다리와 지금의 다리 논산 원목다리/ 논산 채운면 2023.02.17 2023. 2. 19. 강경(江景) 미내다리 I 미내다리/ 미내교(渼奈橋)/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조선후기 영조7년(1731년) 강경의 송만운과 황산의 유승업 등이 축조한 홍예(虹蜺) 석교 조선시대 전라도와 충청도를 잇는 중요 교통로 옛 강경포구 미하천(渼河川)에 다리 놓임 미내다리(渼奈橋)는 미내천(渼奈川)에서 유래했다 함 미내천의 갈대는 바람에 흔들리고 "예전에 다리가 있었는데 조수가 물러가면 바위가 보인다고 해서 조암교(潮巖橋)라 하였다"라는 기록(동국여지승람) 얼마나 많은 조선의 거상(巨商) 보부상(褓負商)들이 이 다리를 오 갔을까 ! 다리사이로 강물은 흐르고, 또 다른 다리 위에는 KTX 흐르는 강물처럼 강경 미내다리/ 논산 채운면 2023.02.17 2023. 2. 19. 오르고 또 오르고 빙벽/ 판대 아이스파크(30m, 60m, 100m, 40m) 100m 안전제일(安全第一) 정상정복(頂上征服) 판대아이스파크/ 원주 2023.02.03 2023. 2. 9.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