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전체 글983

눈 오는 밤에는 청하(淸河) 한잔이면 눈 오는 밤에는 정갈한 횟집에서 청하(淸河) 한잔이면 좋으리라 2023.01.06 2023. 1. 9.
하늘의 별이 되다 "김중만 하늘의 별이 되다" 사진작가 김중만(1954.10.30~2022.12.31) 삼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인왕산(仁王山) 기린교(麒麟橋) 인왕산 치마바위 서설(瑞雪) 간송미술관 소장(1751년경) 겸재 정선(謙齋 鄭敾)의 인왕산 풍광 "장동팔경첩(壯洞八景帖)" 중 한 폭에 수성동계곡 그림 돌다리 "기린교(麒麟橋)" "인왕산 찍어야 되고요 누가 찍으라고해서 찍는 것은 아니지만 겸재를 위해서 찍는 것이고 겸재가 우리에게 준 감동이죠 그 감동에 대해서 되돌려 주는 일을 해야 할 것 같고" K-ODYSSEY (김중만 인터뷰 중에서) "한국의 자연을 찍으면서 비로소 나의 정체성을 찾았고,이 땅 곳곳에 깃든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데 빠지게 됐다" 고 입버릇처럼 말했던 고인 2023.01.05 2023. 1. 5.
조각(彫刻) 조각가/ 문 신(文 信)/ 한국인 아버지 일본인 어머니 문신(文信): 우주를 향하여 (2022.09.01~2023.01.29)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2022.12.21 2023. 1. 3.
덕수궁(德壽宮) 연락교(連絡橋) II 연락교(連絡橋)/ 동관 석조전(石造殿)과 서관 별관(別館)을 잇는 지상 위 다리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지상 위 다리/ 연락교 눈 내린 석조전(石造殿) 연락교 연락교 앞 뜰 무궁화(無窮花) 나무 연락교(連絡橋)/ 돌다리 덕수궁(德壽宮) 2022.12.21 2023. 1. 3.
덕수궁(德壽宮) 회랑교(回廊橋) II 회랑교(回廊橋)/ 두 전각(殿閣)을 이어주는 복도 형식의 다리준명당(浚明堂)/ 고종의 침전(寢殿)즉조당/ 광해군과 인조가 즉위한 정전(政殿)눈 내린 회랑교 앞 뜰       회랑교(回廊橋)/ 마루다리덕수궁(德壽宮)2022.12.21 2023. 1. 2.
덕수궁(德壽宮) 금천교(禁川橋) II 덕수궁(德壽宮)/ 사적 제124호 금천교(禁川橋)/ 대한문(大漢門)을 지나 1986년 발굴 복원 덕수궁(德壽宮)/ 금천교(禁川橋) 2022.12.21 2022. 12. 31.
궁궐 한바퀴 장고(醬庫)/ 궁중 연회(宴會)나 제례(祭禮)에 쓰이는 장(醬)을 보관하던 곳 경복궁(景福宮) 2022.12.21 2022. 12. 28.
건청궁(乾淸宮) 회랑교(回廊橋) II 건청궁(乾淸宮)/ 경복궁 후원에 있는 궁궐 곤녕합(坤寧閤)/ 왕비의 처소(處所)인 안채 옥호루(玉壺樓)/ 명성황후(明成皇后) 피살 당한 전각(殿閣) 장안당(長安堂)/ 왕의 처소(處所)인 사랑채 일월도(日月圖)/ 해 달 산 솔 물/ 임금이 앉는 용상(龍床) 뒤에 장식으로 그림 장안당(長安堂)과 곤녕합(坤寧閤)을 이어주는 복도형식의 다리 고종과 명성황후 회랑교(回廊橋)/ 두 전각(殿閣)을 이어주는 복도 형식의 다리 건청궁(乾淸宮)/ 회랑교(回廊橋)/ 마루다리 경복궁(景福宮) 2022.12.21 2022. 12. 27.
경회루(慶會樓)석교 IV 경회루(慶會樓)/ 국보 제224호 경회루 설경(雪景)/ 인왕산,북악산,남산을 한 눈에 조망(眺望) 경복궁의 유휴(遊休) 공간으로 임금이 외국 사신의 접대와 연회를 베풀던 누각(樓閣) 태종 12년(1412년) 확대 중건(重建)/ 현재의 모습은 고종 4년(1867년) 재건(再建) 경회루 3개의 석교는 해,달,별 삼광(三光)을 뜻 함 이견문(利見門)/ 세 갈래 어도(御道)의 임금 전용 남쪽 석교 이견문(利見門)/ "대인을 만나 본다" 라는 뜻 함홍문(含弘門)/ 세자(世子)와 종친(宗親)이 출입하는 두 갈래 중앙 석교 함홍문(含弘門)/ "포용하고 너그럽다" 라는 뜻 자시문(資始門)/ 신하들과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북쪽 석교 자시문(資始門)/ "만물이 건원(乾元)에 의뢰하여 시작한다" 라는 뜻 경회루(慶.. 2022. 12. 27.
영제교(永濟橋) IV 경복궁의 금천교(禁川橋)인 영제교(永濟橋) 영제교 난간에 서설(瑞雪) 흥례문(興禮門)과 근정문(勤政門) 사이에 위치 영제교(永濟橋)/ 홍예교(虹蜺橋) 경복궁(景福宮) 2022.12.21 2022. 12. 24.
희미한 눈발/ 취향교(醉香橋)V 흰눈이 내리는 취향교(醉香橋) 눈발에 가린 향원정(香遠亭) 흰눈이 내려 앉은 향원지(香遠池) "희미한 눈발 이는 어느 잃어진 추억의 조각이기에 싸늘한 추회(追悔) 이리 가쁘게 설레이느뇨." 김광균/ 설야(雪夜) 중에서 취향교/ 경복궁(景福宮) 2022.12.21 2022. 12. 23.
취향교(醉香橋) V 설경(雪景) 향기에 취한 취향교 흰눈이 내리는 향원정(香遠亭/ 보물 제1761호) 고운 자태(姿態) 고종 임금이 거닐던 향원지(香遠池) 취향교/ 나무다리 경복궁(景福宮) 2022.12.21 2022.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