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10.가교(架橋): 전통다리180

옥천교(玉川橋) III /서설(瑞雪) 창경궁(昌慶宮)의 금천교(禁川橋)인 옥천교(玉川橋)/ 보물 제386호 명정문(明政門)과 옥천교 홍화문(弘化門)과 옥천교 홍화문과 명정문 사이 옥류천(玉流川)에 옥천교(玉川橋) 옥천교(창경궁의 금천교)/ 마음을 경건하게 하고 잡귀를 쫓아내는 상징적인 경계 옥천교와 눈 덮힌 매화(梅花) 조선 성종 14년(1483)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출처:문화재청) 눈 덮힌 다리 난간 서수상(瑞獸像) 옥천교 설매(雪梅) 무지개 형태의 홍예교(虹蜺橋) 석교 풍수의 배산임수(背山臨水) 구현 옥천교(玉川橋)와 살구 앵두 자두나무 매화 창경궁(昌慶宮) 옥천교(玉川橋)/ 종로 2023.12.30 2024. 1. 2.
근하신년(謹賀新年) 송구영신(送舊迎新) 창경궁(옥천교, 선인문 석교, 통명전 지당과 석교) 창덕궁(금천교, 대조전 회랑교) 2023.12.30 2023. 12. 31.
전등사 금천교(禁川橋) 금천교(禁川橋)/ 절 입구 도랑(개천)에 몸 가짐을 단정히 하고 마음을 추스리라는 의미 : 절을 찿는 이들에게 전등사(傳燈寺)/ 현존 최고(最古) 사찰 대웅보전(大雄寶殿)/ 보물 제178호 전등사(傳燈寺)/ 강화 2023.11.14 2023. 11. 19.
강경(江景) 미내다리 II 미내교(渼奈橋)/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영조7년(1731년) 축조된 3칸의 크기가 다른 홍예(虹蜺) 석교 조선시대 전라도와 충청도를 잇는 교통로 미내다리와 미내천(渼奈川) 미내천(강경천)의 수로 정비로(일제 강점기) 현재의 위치 1998년 완전 해체하여 2003년 보수정비 길손의 호롱불 별밤 미내다리 저 멀리 은하(銀河)는 봄바람에 흔들리고 미내다리 야행(夜行)/ 그리움만 쌓이네 강경 미내다리/ 논산 채운면 2023.05.16~17 2023. 5. 21.
미내다리 야행(夜行) II 강경(江景) 미내다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 미내천(渼奈川) 길손의 밤길에 호롱불을 밝힙니다 강경 미내다리/ 홍예교/ 논산 채운면 2023.05.16 2023. 5. 17.
굴량교(掘梁橋)/ 착량교(鑿梁橋) 굴량교(掘梁橋)/ 영조33년(1757년) 건립 후 1907년~1915년 이용/ 나무다리/ 판데목 해협/ 통영반도와 미륵도 사이착량교(鑿梁橋)/ 1915년~1928년/ 판데 돌다리/ 홍예교/ 나무다리에서 돌다리로 이어짐착량교 개통/ 1915년착량교 전경/ 판데목(박경리선생의 시(詩)에 나오는 "판데목 갯벌")/ 판데: 팠다는 말/ "김약국의 딸들"에도 지명 나옴통영해저터널/ 1932년 완공/ 용문달양(龍門達陽)/ "용문 거쳐 산양에 통하다"/ 용문은 중국 고사에 나오는 물살이 센 여울목으로 잉어가 여기를 거슬러 오르면 용이 된다고 함.산양은 미륵도를 이름.이 곳은 사천포해전(선조25년,1592년) 이순신 장군이 대승 한 곳(함선13척 2,600여명 수장)/  누가 용이 된다는 말인가! 일제 강점기에 기존 .. 2023. 5. 12.
건청궁(乾淸宮)회랑교(回廊橋) III 회랑교(回廊橋)/ 두 전각(殿閣)을 이어주는 복도 형식의 다리 장안당(長安堂)/ 왕의 처소(處所)인 사랑채 장안당(長安堂)과 곤녕합(坤寧閤)을 이어주는 복도 형식의 다리 고종과 명성황후 곤녕합(坤寧閤) 남쪽으로 함광문(含光門) 곤녕합(坤寧閤)/ 왕비의 처소(處所)인 안채 건청궁(乾淸宮)/ 경복궁(景福宮) 후원에 있는 궁궐 라일락 향기 그윽한 봄날 옥호루(玉壺樓)/ 명성황후(明成皇后) 피살당한 전각(殿閣) 회랑교(回廊橋)/ 마루다리/ 건청궁(乾淸宮) 경복궁(景福宮) 2023.04.14 2023. 4. 17.
취향교(醉香橋) VI 신록(新綠)의 푸르름에 취(醉)한 취향교 싱그러운 4월 햇살에 향원정(香遠亭/ 보물 제1761호) 향원지(香遠池) 취향교 멀리 남산 취향교 넘어 북악산(北岳山) 향원지에 할미꽃이~ 할미꽃 넘어 취향교 수채화 같은 취향교 취향교(醉香橋)/ 나무다리/ 향원지(香遠池)/ 경복궁(景福宮) 2023.04.14 2023. 4. 17.
경회루(慶會樓)석교 V 경회루(慶會樓)/ 국보 제224호 버들이 늘어진 경회루 돌다리 임금이 접대와 연회를 베풀던 누각(樓閣) 경회루 3개의 석교/ 이견문, 함홍문,자시문/ 해,달,별 삼광(三光)을 뜻 함 이견문(利見門)/ 세 갈래 어도(御道)의 임금님 전용 남쪽 석교 무르익은 봄 밤 이견문(利見門) 함홍문(含弘門)/ 세자(世子)와 종친(宗親)이 출입하는 두 갈래 중앙 석교 자시문(資始門)/ 신하들과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북쪽 석교 버들이 늘어진 봄 밤의 정취(情趣) 야간 개장 상춘객(賞春客)들 경회루(慶會樓) 석교/ 경복궁(景福宮) 2023.04.14 2023. 4. 17.
영제교(永濟橋) V 경복궁(景福宮)의 금천교(禁川橋)인 영제교(永濟橋) 세종8년(1426년) 영제교라 명명(命名)/ 2001년 복원(復元) 봄날의 정취가 물씬한 홍예교인 영제교 영제교(永濟橋)/ 홍예교(虹蜺橋)/ 경복궁 2023.04.14 2023. 4. 16.
논산 석성수탕석교(石城水湯石橋) I 석성 수탕석교(石城水湯石橋)/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88호석성천(石城川)에 놓여진 석교(石橋)논산과 부여의 경계 지역에 위치/ 석성과 은진을 잇는 다리"동국여지승람" "대동지지"에 수탕교 기록/ 현지인들은 "주창다리"라 부름20세기 초 신작로가 신설 되면서 다리의 기능을 잃었다고 함훼손 된 다리를 1998년 부재를 모아 복원5개 교각위에 판석을 얹은 평교투박한 자연석 그대로의 모습고려 말 조선 초기의 전통양식 석교      석교 중수비(重修碑)/ 영조16년(1740년) 보수한 기록이 있슴  논산 석성수탕석교/ 논산 성동면2023.02.17 2023. 2. 23.
논산(論山) 원목다리 I 원목다리/ 일명 원항교(院項橋)/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호 조선시대 충청도와 전라도(은진과 강경)를 잇는 분계점으로 경계역할을 하던 다리 3칸의 둥근 아치형 화강암 석교 호남으로 가는 기찻길 원항천(院項川) 이 다리를 건너던 길손들은 지금은 어디에. . . 홍예(虹蜺)의 양쪽 머릿돌에 용머리 조각 원항교(院項橋) 개건비(改建碑)/ 1900년대 개축, 축조 연대는 불분명(1750년대 추정/해동지도) 마을과 마을, 마음과 마음을 이어주던 옛 다리와 지금의 다리 논산 원목다리/ 논산 채운면 2023.02.17 2023.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