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 사람과 세상을 잇는 가교(架橋)

6.사진과 문학 음악69

소나기 소나기(황순원) (중략~) 뛰어 건널수가 없었다.소년이 등을 돌려댔다.소녀가 순순히 업히었다.걷어올린 소년의 잠방이까지 물이 올라왔다. 소녀는 "어머나"소리를 지르며 소년의 목을 끌어안았다. (중략~) 양평 소나기마을 2021.07.31 2021. 7. 31.
한여름밤의 꿈 한여름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 by William Shakespeare) 셰익스피어 허미아(Hermia): 참다운 연인들이 언제나 좌절을 겪는다면 그것은 우리 시련에게 참을성을 가르치자. 왜냐하면 그것은 상념과 꿈,한숨,소망,그리고 눈물이 가련한 연정을 따르듯이 사랑에겐 으레있는 좌절인 셈이니까 ~1막1장 인천대교 영종도 2021.07.17 2021. 7. 18.
노인과 바다 조금 전에 고기가 왜 뛰어 올랐을까 하고 노인은 생각했다.마치 자기가 얼마나 큰지 자랑이라도 하려고 솟아오른 것 같아 (중략) 저 고기 놈이 되어 보고 싶구나 하고 그는 생각했다. 오직 내 의지,내 지혜에 맞서 모든 걸 갖고 싸우고 있는 저 놈 말이야. "노인과 바다" 중에서(내 친구 "용길" 에게 이 "사진"과 "글"을 같이한다) 인천대교(영종도) 2021.07.02 2021. 7. 3.
신록예찬(新綠禮讚) 신록예찬(新綠禮讚) 이양하(李敭河) 봄 여름 가을 겨울 두루 사시를 두고,자연이 우리에게 내리는 혜택에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그 중에도 그 혜택을 풍성히 아낌없이 내리는 시절은 봄과 여름이요,그 중에도 그 혜택을 가장 아름답게 내는 것은 봄, 봄 가운데도 만산에 녹엽이 싹트는 이 때 일 것이다. (중략) 삼패공원 2021.04.16 2021. 4. 16.
꽃잎은 바람결에 떨어져 낙화(落花) 조지훈(趙芝薰) 꽃이 지기로서니 바람을 탓하랴 주렴 밖 성긴 별들이 하나 둘 스러지고 귀촉도 울음 뒤에 머언 산이 다가서다 (중략) 연화지(벚꽃이 아름다운 연못)/ 김천 2021.04.14 2021. 4. 15.
봄비 은(銀)실 같은 봄비만이 소리도 없이 근심같이 나리누나! 아, 안 올 사람 기다리는 나의 마음! "변영로"의 봄비에서 이 비 그치면 내마음 강나루 긴 언덕에 서러운 풀빛 짙어 오것다 푸르른 보리밭 길 맑은 하늘에 종달새만 무어라고 지껄이것다 이 비 그치면 시세워 벙글어질 고운 꽃밭 속 처녀애들 짝하여 새로이 서고 임 앞에 타오르는 향연과 같이 땅에선 또 아지랑이 타오르것다. " 이수복 " 꽃비 오는 아파트에서 2021.04.03 2021. 4. 3.
낮에 나온 반달 낮에 나온 반달은 하얀 반달은 햇~님이 쓰다버린 쪽박인가요 (중략) (동요 중에서♪♩♬) 태백산 2021.03.03 2021. 3. 4.
백조의 호수 고니(백조)의 호수 양수리 2021.02.19 2021. 2. 21.
고니는 떠나가고 파노라마 지금은 멀리 날아가버린 한마리의 고니(백조)처럼 나도 어디론가 떠나가고 싶어요 El Condor Pasa 중에서 고니는 떠나가고(El Swan Pasa) The swan pass 양수리 2021.02.19 2021. 2. 21.
새는... 새는 (가수 송창식) 새는. . . 노래하는 의미도 모르면서 자꾸만 노래를 한다 새는. . . 날아가는 곳도 모르면서 자꾸만 날아간다 (중략) 먼 옛날 멀어도 아주 먼 옛날 내가 보았던 당신의 초롱한 눈망울을 닮았구나 (중략) 경안천 2021.02.13 2021. 2. 14.
고니 I 파노라마 고니(가수 이태원)                      가난한 시인의 집에                       내일의 꿈을 열었던 ♩♩♬                      외로운 고니 한마리    (중략) 다산생태공원(2019.02.26정리)2021.02.09 2021. 2. 9.
설야(雪夜) 어느 머언 곳의 그리운 소식이기에 이 한밤 소리없이 흩날리느뇨. (중략) 머언 곳에 여인(女人)의 옷 벗는 소리 희미한 눈발 이는 어느 잃어진 추억의 조각이기에 싸늘한 추회(追悔) 이리 가쁘게 설레이느뇨. (중략) 흰 눈은 내려 내려서 쌓여 내 슬픔 그 위에 고이 서리다. 시인 김광균(金光均) (1914~1993) 설야(雪夜) 중에서 화랑대역 2021.02.03 입춘서설에 2021.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