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83 한월(寒月) 차가운 달(Cold Moon) 한천급월(寒泉汲月)/ 차가운 샘에서 길어올린 달 괄허취여(括虛取如,1720~1789)/ 괄허대사(括虛大師),조선시대 스님 산승은 물 속의 달이 너무 좋아서 산승편애수중월(山僧偏愛水中月) 달과 함께 찬 샘물을 두레박으로 길었네 화월한천납소병(和月寒泉納小缾) 돌아와 동이 안에 조심스레 쏟아붓고는 귀도석감방사출(歸到石龕方瀉出) 아무리 물을 휘저어봐도 달은 간데없네 진정교수월무형(盡情攪水月無形) 동지(冬至) 전 전 날 그믐 쯤에 2022.12.20 2022. 12. 20. 내리는 눈발 대원사/ 의정부 2022.12.15 2022. 12. 17. 힘들때면 선두리/ 강화 2022.12.06 2022. 12. 7. 구름 좋았던 날 바람 불어 좋은 날 황산도/ 강화 2022.08.11 2022. 12. 5. 미술관 산책 서울미술관/ 석파정 2022.11.03 2022. 11. 21. 오간수교(五間水橋) II 홍지문 및 탕춘대성(弘智門 蕩春臺城)/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3호오간수대문 홍예교(虹蜺橋) 숙종 45년(1719년) 건립 축조/ 1921년 재건 탕춘대성(蕩春臺城)/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는 조선시대 산성(山城) 홍지문 오간수문/ 오간수교/ 홍제천(弘濟川)2022.11.04 2022. 11. 21. 지당(池塘)과 석교 III 통명전(通明殿)/ 보물 제818호 지당(池塘)과 석교(石橋)/ 연못과 돌다리 용마루 없는 통명전(通明殿)/ 왕비(王妃)와 대비(大妃)등 왕실 여성들 만의 전각(殿閣) 지당(池塘)/ 연못/ 그 위 돌다리 석교(石橋) 지당 수로(水路) 보다리/ 들보가 기둥위에 놓인 다리 성종 15년(1484년) 건립/ 순조 34년(1834년) 재건 지당(池塘)과 석교/ 보다리/ 통명전/ 창경궁 2022.11.04 2022. 11. 19. 선인문(宣仁門) 석교 II 창경궁(昌慶宮) 정문인 홍화문(弘化門) 남쪽의 문 조정 신하들은 대개 이 문 이 "돌다리"로 출입 했다 함 이 돌다리로 얼마나 많은 유생(儒生)들이 오 갔을까 ! 회화나무와 돌다리/ 비운의 사도세자를 지켜 본 회화나무 선인문(宣仁門) 석교/ 창경궁(昌慶宮) 2022.11.04 2022. 11. 19. 옥천교(玉川橋) II 보물 제386호 "구슬과 같은 맑은 물이 흘러간다"하여 옥천교(玉川橋)라 명명(命名) 가운데는 왕이 다니는 어도(御道) 홍예교(虹蜺橋)/ 아치 무지개 석교 귀면(鬼面) 조각상/ 도깨비 얼굴 물길은 옥류천(玉流川) 성종 15년(1484년) 건립 축조 옥천교(玉川橋)/ 창경궁(昌慶宮)의 금천교(禁川橋)/ 홍예교(虹蜺橋) 2022.11.04 2022. 11. 19. 저 길 넘어 저 길 넘어 가을이 저문다 저무는 가을녁에 2022.11.18 2022. 11. 18. 단풍 들것네 오매 단풍들것네 김영랑 오매 단풍들것네 장광에 골 붉은 감잎 날아오아 누이는 놀란듯이 치어다보며 오매 단풍들것네 추석이 내일모레 기둘리니 바람이 잦이어서 걱정이리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 오매 단풍들것네 석파정(石坡亭)/ 종로구 부암동 2022.11.03 2022. 11. 18. 석파정(石坡亭)석교 가을(V)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6호 석파(石坡)/ 흥선대원군의 호/ 흥선대원군별서(興宣大院君別墅)에 자리 잡은 정자/ 석교(石橋) 조선의 왕이 선택한 왕의 공간/ "물과 구름이 감싸 안은 집"이라 명명(命名) 평석교(平石橋)/ 지붕은 청나라 풍/ 철종 2년(1851년) 건립 축조 오매 단풍들것네~ "흐르는 물소리 속에서 단풍을 구경하는 정자(亭子)" 석파정 석교 유수성중관풍루(流水聲中觀楓樓)/ 흐르는 물소리 속에서 단풍을 바라보는 누각(樓閣) 석파정(石坡亭)석교/ 우물마루보다리/ 종로구 부암동 2022.11.04 2022. 11. 17.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