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83 소요정(逍遙亭)석교 II 소요(逍遙)/ 구속 없이 천천히 노닌다/ 임금님이 정무를 잊고 천천히 거닐며 심신을 휴식하는 정자(亭子) 소요정 옥류천(玉流川) / 후원(後苑) 북쪽 가장 깊은 골짜기 소요정을 지나 그 위에 돌다리 장자(壯子)의 "소요유(逍遙遊)" 에서 유래 소요정에 걸려 있는 주련(柱聯) 시(詩)/珮聲遙在紫微天(패성요재자미천): 패옥소리 아스라히 궁궐의 하늘에서 들려오네 판석교/ 상부에 상판석과 멍에돌 교각은 마름모 꼴/ 물의 흐름 저항을 최소화 소요암(逍遙岩) 위를 옥류천 물길이 흐르며 어정(御井)을 중심으로 정자들이 모여 있슴 소요암(逍遙岩)/ 옥류천(玉流川) 어정(御井) 샘물이 솟아 오르는 바위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 굽이 도는 물에 술 잔을 띄어 놓고 "술 한 잔에 시 한 수" 소요암에 인조의 옥류천(玉流川).. 2022. 10. 31. 회랑교(回廊橋) IV 희정당(熙政堂)/ 왕의 침전 업무공간/ 보물 제815호 회랑교(回廊橋)/ 두 전각(殿閣)을 이어주는 복도 형식의 마루다리 희정당에서 대조전으로 왕의 희정당(熙政堂)과 왕비의 대조전(大造殿) 두 전각(殿閣)을 연결하는 마루다리 왕과 왕비의 "사랑의 복도" 다리 대조전(大造殿) 보수공사 중 대조전(大造殿)/ 왕비만의 내전 정원(지난 1월 서설에)/ 보물 제816호 창덕궁(昌德宮)/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10.25 2022. 10. 30. 취한정(翠寒亭) 석교 II 취한정/ 임금님이 약수를 드신 후 귀로에 잠시 쉬어 가던 정자(亭子) 푸른 소나무 숲이 울창하여 여름에도 한기가 돌 정도의 경승(景勝)이라 함 옥류천(玉流川) 어귀에 옥류천(玉流川)이 흘러 내려오는 그 곳에 돌다리/ 1827년 이전에 취한정(翠寒亭) 석교/ 창덕궁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10.25 2022. 10. 29. 저어새 갯골 깊어가는 가을 갯골 선두리/ 강화 2022.10.28 2022. 10. 29. 가을은 참 예쁘다 갯골 가을/ 너도 나도 하늘에 구름같이 흐르네 ♪♩♬ 선두포구 선두리/ 강화 2022.10.28 2022. 10. 29. 존덕정(尊德亭) 홍예교 III 존 덕/ 덕(德)을 쌓다(尊)/ 임금이 덕을 존중하면 성군(聖君)이 됨 조선시대 건축의 다양성으로 처마가 이층인 겹지붕 홍예교(虹蜺橋)/ 아치형 무지개 돌다리 존덕정/ 후원(後苑) 관람지(觀纜池)에 있는 육각형 정자(亭子) 후원(後苑) 존덕정 홍예교 가을 빛 존덕정 동편으로 시내/ 그 위에 돌다리 홍예교(虹蜺橋)/ 인조 22년(1644년) 창건,축조/ 정조의 현판 존덕정(尊德亭) 홍예교(虹蜺橋)/ 창덕궁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10.25 2022. 10. 27. 오작교(烏鵲橋) III 장락문(長樂門) 앞 오작교/ 연경당(演慶堂: 보물 제1770호) 오작교(烏鵲橋)/ 순조 28년(1828년) 축조 오작교 아래 흐르는 은하수(銀河水) 물길 오작교 건너 너머 "긴 즐거움" 달나라 신세계로 들어가는 "장락문(長樂門)" 솟을 대문 장락문(長樂門)을 지나 연경당(演慶堂)으로 들어오는 사람의 마음 가짐을 추스리는 금천교(禁川橋)인 오작교 솟을 대문 "장락문" 앞 오작교(烏鵲橋) 장락문 앞에 계류(溪流)가 흐르고 그 위에 "널다리" 석교 오작교(烏鵲橋) 오작교 추색(秋色) 오작교(烏鵲橋)/ 널다리/ 창덕궁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10.25 2022. 10. 27. 금천교(錦川橋) IV 금천교/ 보물 제1762호 태종11년(1411년) 축조 진선문(進善門) 밖 어구(御溝)에 축조 궁궐안 돌다리 중 가장 오래 됨 비단처럼 맑고 아름다운 물이 흘렀던 금천(錦川)/ 홍예교(虹蜺橋)/ 무지개 아치 다리 창덕궁의 명당수(明堂水) 금천(錦川) 금천교(錦川橋)/ 금천교(禁川橋)의 고유(固有) 이름 창덕궁(昌德宮)/ 사적 제122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10.25 2022. 10. 26. 정조의 효심(孝心) 정조(正祖) 임금의 효심(孝心) 별과 달이 되다 만천명월(萬川明月)/ 일월도(日月圖) 수원화성(華城)/ 2022 수원화성 미디어아트쇼/ 화홍문(華虹門) 7칸수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수원 2022.10.17 2022. 10. 20. 화홍문(華虹門) 미디어아트쇼 정조(正祖)의 꿈 만천명월(萬川明月) 빛이 되다 정조, 유토피아를 꿈꾸다 정조의 효심(孝心) 별 달이 되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華城)/ 2022수원화성 미디어아트쇼/ 수원 2022.10.17 2022. 10. 19. 화홍문(華虹門) 7칸 수문 화홍문/ 정조20년(1796년) 건립 수원 성곽(사적 제3호) 내의 북쪽 수문 그 위에 문루(門樓) 수문은 7개 석조 아치/ 수문의 크기가 다름 수원을 남북으로 흐르는 광교천(光敎川) 위에 1932년 누각 복원/ 2016년 누각 창문 복원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문헌:한국학중앙연구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華城)/ 화홍문/ 수원 2022.10.14 2022. 10. 19. 군자정(君子亭) 석교 당진시 향토 유적 제1호 1803년 축조 된 원래 모습 그대로 유지 1994년 군자지(君子池)에 팔각정 복원 고려 공민왕2년(1352년) 정자를 짓고 연못을 만들어 돌다리와 연꽃을 심었다고 전해 짐/ 최초의 기록 1800년대 후반 "면천읍지"에 기록 석교와 군자정 그리고 천진(天眞)한 아이 고려시대 축조/ 자연석 네개로 구성 길이 7.4m 폭 65cm 4개의 장방형 판석으로 상판을 구성/ 4개의 교각은 2단으로 축조 군자정과 벚꽃나무 그리고 돌다리 이태백(李太白)의 흘림체 낭관호(朗官湖) 음각된 빗돌/ 이태백이 뱃놀이를 즐겼던 호수/ 군자지(君子池)의 풍광을 비유적으로 표현 한 듯 군자정 석교(石橋)/ 당진 면천면 2022.10.15 2022. 10. 19.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