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83 보슬비 내리는 보슬비 내리는 늦 가을 용담호 용담호 주천생태공원/ 진안 2022.11.13 2022. 11. 16. 길 따라 모래재 메타세콰이어 길/ 늦 "가을 비" 온 뒤에 모래재/ 진안 2022.11.13 2022. 11. 15. 기린교(麒麟橋) 가을 IV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1호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수송동 그림"에 나옴(1751년 경) 통돌로 된 돌다리 그 예전에는 경복궁까지 물소리가 들렸다 함 뒤로 보이는 인왕산(仁王山) 치마바위 교각없이 두개의 장대석(長臺石)으로 기린(麒麟)은 동물 중의 으뜸으로 성인(聖人)이 태어날때 그 징조로 나타나는 동물이라 함 기린교/ 상서(祥瑞)롭고 복(福)된 다리로, 오가는 이들을 "이롭고 복되게" 했을 것 임 기린교(麒麟橋)/ 인왕산(仁王山) 수성동 계곡/ 종로구 2022.11.03 2022. 11. 11. 후원(後苑) 가을 창덕궁 후원(後苑) 2022.10.25 2022. 11. 11. 청의정(淸漪亭) 돌다리 II 청의정(淸漪亭)/ 맑은 물결을 감상하는 정자(亭子)/ 그 옆 돌다리(널다리) 청의(淸漪)/ 주자(朱子)의 시(詩)에서 인용(引用)했다 함 정자(亭子)에 드나들 수 있게 교각 없는 돌 상판 만 있는 돌다리 옥류천(玉流川) 주변 안쪽에 있는 정자 궁궐의 유일한 초가 지붕/ 정자 옆 논 임금은 벼 농사를 짓고 그 볏짚으로 지붕의 이엉을 잇게 했다 함 농사의 소중함을 백성에게 알림/ 선농(先農) 인조14년(1636년) 건립 축조 청의정(淸漪亭) 돌다리/ 창덕궁 후원(後苑)/ 널다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10.25 2022. 11. 11. 어정(御井)앞 돌다리 II 소요암(逍遙岩) 뒤 어정(御井)/ 임금님이 먹었던 생수(生水)/ 돌 덮개로 덮혀 있슴 샘에서 나온 물이 바위를 휘돌아 흐름/ 소요암(逍遙岩)에 옥류천(玉流川) 청의정(淸漪亭)과 소요정(逍遙亭) 사이에 어정(御井)/ 어정에서 나온 물은 옥류천(玉流川)으로/ 그 위에 돌다리/ 널다리 널다리 아래 작은 우주(宇宙) 우주(宇宙) 안의 태극(太極) 문양(文樣)/ 나무잎을 띄어 놓으면 빙빙 돈다 함 어정(御井) 앞 돌다리/ 널다리/ 창덕궁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10.25 2022. 11. 10. 블러드 문(Blood Moon) 붉은색의 개기월식 블러드 문(레드 문) 別內/ 南楊州 2022.11.08 2022. 11. 9. 태극정(太極亭) 돌다리 II 창덕궁 후원(後苑) 옥류천(玉流川) 일원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 태극정(太極亭)/ 철학적으로 이름이 명명(命名)된 정자(亭子) 태극(太極)은 만물을 생성(生成) 시키는 우주의 근원 정자(亭子) 옆을 흐르는 옥류천(玉流川) 계류(溪流)와 그 위 돌다리/ 느긋하고 여유있는 공간 인조14년(1636년) 창건 축조 된 널다리 태극정(太極亭) 옆 돌다리/ 창덕궁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10.25 2022. 11. 8. 여명(黎明) 별빛 윤회(輪廻)/ 별빛이 사라지면 여명이 온답니다 두물머리/ 양평 2022.11.06 2022. 11. 7. 고목(古木)과 북두칠성 고목(古木)과 북두칠성 연(蓮)과 북두칠성 두물머리/ 양평 2022.11.05 2022. 11. 5. 만추(晩秋) 별빛은 흐르고 두물머리/ 양수리 2022.11.02 2022. 11. 2. 술 한 잔에 시(詩) 한 수 소요암(逍遙岩)을 깍아 그 위에 물길을 내어 폭포를 만들다(인조14년 1636년) 경주의 포석정(鮑石亭) 처럼 곡선형의 수로를 따라서 흐르는 물 위에 술 잔을 띄우고 시(詩)를 짓다/ 流觴曲水宴(유상곡수연) 소요암 하단 옥류천(玉流川) 인조의 어필(御筆) / 가운데 숙종의 오언절구 시(詩) 암각(巖刻) 오언절구(五言絶句)의 한시(漢詩)/ 숙종 飛流三百尺(비류삼백척) 옥류천 폭포 삼백척 遙落九天來(요락구천래) 저 멀리 하늘에서 떨어지는 듯 하네 看是白虹起(간시백홍기) 돌아보니 흰 무지개 일고 飜成萬壑雷(번성만학뢰) 골짜기마다 천둥소리 가득차네 소요암(逍遙岩)/ 창덕궁 후원(後苑)/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2022.10.25 2022. 11. 1.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82 다음